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12.12 군사반란 사태

하트라임멜론 2024. 12. 12. 05:14
반응형

12.12 사태는 민주화 운동과 정치적 변화의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던 12.12 군사 쿠데타의 배경과 결과에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2.12-군사-반란-사태-썸네일
12.12-군사-반란-사태

 

12.12 군사 반란 사태 

 

1.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2.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의 임명

박정희 대통령 사망 후,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정승화 총장은 군의 중립성을 유지하고, 정치적 개입을 자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3. 신군부의 불만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 총장이 군의 중립성을 유지하고, 정치적 개입을 자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자 불만을 품게되었습니다. 이들은 정승화 총장을 제거하고, 군의 실권을 장악하기로 결심합니다.

 

4. 계획 수립 

전두환은 12월 8일 이학봉 중령으로부터 정승화 총장 연행 계획서를 받고, 이를 확정한 후 허삼수와 우경윤에게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도록 지시했습니다.

 

5. 쿠데타 실행

12월 12일 오후, 전두환은 박희도, 최세창, 정기오,차규헌, 노태우, 황영시 등과 함께 경복궁 내 수도경비사령부 여하 제 30경비단 단장실로 모여 시내 일원을 장악하기로 한 계획을 지시했습니다. 같은날 18시, 전두환은 최규하 대통령에게 목욕 시간을 피해서 20분 일찍 오라는 전갈까지 받고 육군참모총장 체포안에 대한 재가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습니다. 이후 전두환, 유학성, 황영시 등은 국무총리 공관으로 가서 재차 요구하였으나, 국방부 장관의 배석이 없기때문에 거절당했습니다. 결국 새벽 3시 30분경 국방부 청사에 도착한 총리는 노재현 국방부 장관을 찾아서 최규하 대통령에게 데리고 갔고, 총리 공관에 도착 후 재가를 하여 사실상 12.12 사태는 종결되었습니다.

 

6. 결과

12.12 쿠데타 이후 전두환은 사실상 이희성 육군대장으로 임명된 계엄사령관을 직접 임명하고, 6인 위원회를 통해 군부의 인사를 조정하여 군의 주도권을 장악했습니다. 이 사건은 신군부가 실권을 잡고 최규하 대통령을 사임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5.17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12.12 사태는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으로, 군사 쿠데타와 권력 장악의 역사적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민주화 운동과 정치적 변화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12.12 사태를 통해 우리는 권력의 남용과 군사 쿠데타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